도로에서 차선을 바꾸며 가면 얼마나 빨리 갈까?
2024. 9. 22. 19:18ㆍ유용한 정보
운전을 하다 보면, 열심히 요리조리 차선을 바꾸며 달리는 차를 종종 보게 됩니다.
대부분의 경우 깜빡이도 안 켜고 차선을 바꾸기도 하고, 실선에서도 차선을 바꾸기도 합니다.
그런 식으로 간 차들도 한참 가다 보면 신호대기에서 다시 만나곤 하죠.
'저렇게 위험하게 운전해도 별 소용없을텐데...?'라는 생각이 자주 듭니다.
실제로, 차선을 바꾸며 운전해봤자, 도착 시간에는 별 차이가 없다는 조사 결과가 꽤 있습니다.
반면 그로 인해
1. 사고 위험이 늘어나고
2. 오히려 뒷차들에 정체를 유발합니다. (자신도 자신에 앞서 차선을 바꿔대는 차량으로 인한 정체의 영향을 받게 되고요)
이와 관련된 실험을 한 곳들이 있어서 자료도 퍼와봤습니다.
https://m.blog.naver.com/geniusinwon/222056204834
요약하자면,
1. 정체가 심한 22km코스를 운행
2. 한대는 한 차선으로 쭉. 또 한대는 요리조리 차선을 바꿔가며 이동
3. 결과적으로 한 차선으로 쭉 간 차에 비해 37회 차선을 바꾼 차가 2분 13초 빨리 도착
(이 글에 전체 소요 시간은 안 나왔지만 정체가 많은 22km 코스면 적어도 40분~1시간 정도는 걸리지 않았을까 싶습니다.)
아래 글은 잦은 차선 변경 차량이 오히려 정체를 유발한다는 내용입니다.
이와 관련된 실험 영상도 있고요.
https://news.sbs.co.kr/news/endPage.do?news_id=N1004010070
'유용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owerpoint Tip - How to export slide notes as a text file? (0) | 2022.07.24 |
---|---|
파워포인트에서 슬라이드 노트를 텍스트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(3) | 2022.07.24 |
중국어 HSK, IBT와 PBT 무엇이 좋을까? (0) | 2022.04.11 |
고등학교 배정 결과 조회 방법 (0) | 2022.01.28 |
유튜브 타임스탬프 사용을 위한 조건 (0) | 2022.01.24 |